✜ 8 체 질 의 학 ✜
팔체질의학(한자: 八體質醫學)은 사람의 체질을 오장육부의 크기에 따라 목양(陽陽), 목음(木陰), 수양(水陽), 수음(水陰), 토양(土陽), 토음(土陰), 금양(金陽), 금음(金陰)의 8가지로 구분하는 체질의학론이다. 1965년 10월 24일 대한민국의 한의사 권도원이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제1회 국제 침구학회(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Acupuncture)에서 최초로 발표하였다. 문진, 설문조사, 침, 약 등의 방법으로 체질을 판별한다. 한 때 ‘이제마의 사상의학과 다르다’,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한의학계에서 이단시되기도 하였다.
8체질 장기의 강약 배열
체질명 |
해당장기 |
체질명 |
해당장부 |
목양체질 |
간>신장>심장>비장>폐 |
목음체질 |
담낭>소장>위장>방광>대장 |
토양체질 |
비장>심장>간>폐>신장 |
토음체질 |
위장>대장>소장>담낭>방광 |
금양체질 |
폐>비장>심장>신장>간 |
금음체질 |
대장>방광>위장>소장>담낭 |
수양체질 |
신장>폐>간>심장>비장 |
수음체질 |
방광>담낭>소장>대장>위장 |
권도원에 따르면 체질은 선천적이며 부모가 가진 두 체질 중의 하나를 물려받는 유전의 형태를 가진다. 체질을 알아내는 방법은 손목 요골동맥(radial artery)에서 8체질의 고유한 선천적인 '조우 상을 이루는 8쌍의 맥상(Pulse formations)들' 찾아 맥의 파형을 세 개의 손가락 끝으로 감지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체질의 구별은 이후 좀 더 쉬운 판별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가령, 기계를 도입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8체질을 구분하는 8체질의학은 인간의 몸 속 장기를 기준하여 체질을 구분하는 이론을 성립시키고 있다. 그런데 8체질의학 이전에 잘 알려진 이제마의 사상의학을 통해 체질의 구분이 먼저 성립된 바 있다. 권도원의 8체질의학에서는 이 두 의학을 시대적 배경과 더불어 서로 전혀 다른 원리에서 출발한다고 밝히고 있다.
사람의 몸에는 내실장기(內實臟器-Solid organ) 5개와 내공장기(內空臟器-Hollow organ) 5개의 모두 10개의 내장이 있는데, 이것들이 나면서부터 그 강약 배열이 다르게 되어 있어 모두 8개의 서로 다른 배열로 나뉘어진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8체질의 원리이며 장부의 강약은 장부의 대소와도 직결되는 것이다. 사상의학과 장부의 배열을 다루는 이론은 비슷한 듯 하지만, 8체질의학에서는 중간장기의 강약배열을 독찯적으로 구별하고 있다. 간략하게 8체질의 종류를 보면 다음과 같다.
'간이 가장 큰 장기로 선두에서고 다른 9개 장기가 강약의 순서대로 배열되는 체질을 목양체질(Hepatonia)이라고 하며, 담낭이 선두에 서고 다른 9개 장기가 강약의 순서로 배열된 체질을 목음체질(Cholecystonia)이라고 한다. 이런 식으로 췌장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토양체질(Pancreotonia), 위가 선두에 서는 배열을 토음체질(Gastrotonia), 폐가 선두에 서는 배열을 금양체질(Pulmotonia), 대장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금음체질(Colonotonia), 신장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수양체질(Renotonia), 방광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수음체질(Vesicotonia)이라 부른다.
(1) 목양체질 (HEPATONIA)
* 특징
간이 가장 강하고, 폐가 가장 약한 장기배열 구조의 체질이다. (폐<췌장<심장<신장<간)
대개 말을 잘 하지 않는 과묵한 사람이다. 그렇게 과묵한 이유는 말을 내보내는 기관인 폐가 작아서 말을 많이 하면 금방 피곤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을 많이 하면 쉽게 피곤을 느낀다. 또한 폐가 작으므로 숨이 짧고 노래도 잘 못하며, 이 체질에 음치가 많다.
체격은 풍채가 좋고 체구가 큰 편이어서 건강하게 보이고 덕이 있어 보이는 사람이 많은데, 눈사람처럼 어깨가 좁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굵어져 허리가 가장 크다.
마음이 인자하고 남의 잘못을 쉽게 용서한다. 말로 따지는 것을 싫어하며 툭터진 넓은 곳에서 활동하기를 좋아하고 계획적이기보다는 투기적이고, 창의적이기보다는 되는대로 적응하려는 편이다.
불쾌한 내용의 환청, 피해망상과 과대망상을 겸한 환각증(Hallucinosis)은 주로 목양체질의 병이다. 의식은 명료하고 사고에 장애가 없는 이 질환은 마침내 정신병으로 취급되어 폐인이 되기 쉽다.
목양체질은 대개 본태성 고혈압의 소유자로 혈압이 약간 높은 편이 오히려 정상상태인데, 체질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혈압을 떨어뜨리기 위해 채식과 생선을 주로 먹고 육식을 멀리 할 때 피곤증과 함께 환각증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런 때일수록 식사를 육식으로 바꾸고 온수욕을 습관화하는 체질치료법으로 쉽게 회복될 수 있다.
체질적으로 땀이 많이 나야 건강한 상태이며, 허약할 때는 오히려 땀이 없다. 따라서 건강한 사람은 땀이 귀찮도록 많으며, 몸이 괴로울 때 땀을 흘리면 몸이 가벼워진다. 그러므로 항상 온수욕을 즐겨 땀을 내는 것은 좋은 건강법이 된다.
체질적으로 육식이 잘 맞으며, 채식을 위주로 하면 병이 나기 쉽다. 채소와 생선을 많이 먹거나 육식을 적게 하면 이유 없이 피곤하고 눈이 아프며 발이 답답하다. 또 육식과 더운 목욕을 즐기면 피부가 희고, 채식과 생선을 즐기고 냉수욕을 자주 하면 색이 어둡고 검어진다.
혈압은 약간 높은 편이 건강하고 의욕도 왕성하며, 평소 말을 적게 하고 술을 끊어야 한다.
* 유익한 것
곡물류 - 쌀, 콩, 밀가루(우리밀), 수수, 율무, 두부.
육 류 - 모든 육류(특히 소고기), 우유, 계란.
생선류 - 장어, 미꾸라지, 메기.
채소류 - 무우, 도라지, 당근, 연근, 우엉, 더덕 등 뿌리채소, 호박, 버섯, 열무, 마늘.
과일류 - 사과, 배, 수박, 밤, 잣, 은행, 호두.
기 타 - 비타민 A,D. 녹용, 커피, 황설탕, 칡차, 마, 알칼리음료수, 사우나(온수욕),
흰색, 붉은색, 심호흡은 들이 마시기를 길게...
* 해로운 것
곡물류 - 모밀.
어패류 - 모든 조개종류, 게, 새우, 오징어, 낙지, 굴, 고등어, 꽁치, 청어, 갈치, 참치,
생선회 등 대부분의 생선류.
채소류 - 배추, 양배추, 상추 등 푸른잎 채소류.(열무는 제외)
과일류 - 포도, 다래, 모과, 키위.
기 타 - 술, 코코아, 쵸코렛, 모과차, 녹즙, 포도당주사, 찬물수영, 찬물목욕, 산성음료수,
푸른색깔의 벽지.
(2) 목음체질 (CHOLECYSTONIA)
* 특징
담이 가장 강하며, 대장이 가장 약한 장기배열 구조의 체질이다. (담>소장>위>방광>대장) 대장이 짧아서 대변이 잦은 것이 특징이다. 하루에도 몇 번씩 배변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대변을 자주 보아도 몸은 별로 쇠약하지 않다. 이것은 위는 건강하여 소화할 것은 다 소화하고, 흡수할 것은 다 흡수하지만, 대장이 힘이 없어 수분처리가 안되고 저장하는 창고가 좁은 까닭에 빨리 내보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루에도 몇 번씩 배변을 해야 하고, 항상 배꼽주위가 냉하고 아프다고 호소하는 근제통(近臍痛)이 나타나기 쉬운데 육식을 위주로 하고 아랫배를 따뜻하게 하면 좋은 효과를 본다.
대장의 이상으로 아랫배가 불편하고 대변이 고르지 못하며, 몸이 냉하고,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무거우며 잠을 잘 못자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항상 아랫배에 복대를 하여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
성품은 외향적이면서도 적극성도 있고 활동적이며 봉사적인 반면에, 성격이 급하고 감수성이 강하며, 알콜중독에 잘 걸릴 수 있는 체질이다.
감정이 약하여 조금만 섭섭한 말을 들어도 자극을 심하게 받아 불면증으로 시작하여 온 몸이 차가워지고 다리가 무거워지고 설사를 하는 등 건강을 해칠 우려가 높다. 성격은 급한 편이긴 하지만 독하지는 못하다.
육식을 위주로 해야 하는 체질로 채식과 생선을 즐기면 아랫배가 편하지 않다. 몸을 따뜻하게 하고 온수욕을 즐겨하는 것이 좋으며, 냉수욕과 술은 해가 많다.
* 유익한 것
곡물류 - 쌀, 콩, 밀가루(우리밀), 수수, 율무, 두부.
육 류 - 모든 육류(특히 소고기), 우유.
생선류 - 장어, 미꾸라지.
채소류 - 무우, 도라지, 연근, 우엉, 마, 더덕, 마늘 등 뿌리채소. 호박, 버섯, 열무.
과일류 - 사과, 배, 수박, 밤, 잣, 호두, 은행.
기 타 - 녹용, 비타민A,B,D. 스쿠알렌, 황설탕, 알칼리음료수, 사우나(온수욕),
심호흡은 들이마시기를 길게.
* 해로운 것
곡물류 - 모밀.
어패류 - 모든 조개종류, 게, 새우, 오징어, 낙지, 고등어, 꽁치, 청어, 갈치, 참치, 생선회 등 대부분의 생선류.
채소류 - 배추, 양배추, 상추 등 푸른잎 채소류.(열무는 제외)
과일류 - 포도, 망고.
기 타 - 술, 인삼, 녹즙, 모과차, 오가피, 쵸코렛, 코코아, 산성음료수, 찬물수영,
찬물목욕, 포도당주사, 푸른색깔의 벽지.
(3) 수양체질 (VESICOTONIA)
* 특징
신장이 가장 강하며, 췌장이 가장 약한 장기배열 구조의 체질이다. (신장>폐>간>심장>췌장). 상습성 변비(Habitual Constipation)가 특징이다. 평소에 좀처럼 설사를 하지 않고, 여러날씩 대변을 안 보아도 크게 불편해 하지 않는다.
건강하면 땀이 없고, 몸이 약해지면 땀이 난다. 일사병(Sunstroke)으로 잘 넘어지는 아이가 이 체질이다. 체질적으로 땀을 많이 흘리면 안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땀을 많이 흘리지 않도록 하는게 좋다. 그러므로 한증탕, 온탕욕은 좋지 않으며, 냉수욕이나 냉수마찰이 땀을 방지하는 좋은 건강법이다.
어깨가 넓고 허리가 가늘며 엉덩이가 나와 몸매가 곱다. 또 운동신경이 발달하여 무슨 운동이든지 잘한다.
대단히 사무적인 성격으로 빈틈이 없고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것을 좋아하며 소설을 잘 쓰고,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아주 차근차근 일을 처리한다. 성품이 조직적이며 의심이 많아 남의 말을 잘 믿지 않으며,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는 성격으로 모든 것을 숙고한 후에 결정하는 완벽주의적이며 내향적인 성격의 소유자이다. 따라서 무엇인가에 너무 집착하여 깊이 생각하는 것도 수양체질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다.
* 유익한 것
곡물류 - 찹쌀, 현미, 옥수수, 감자.
육 류 - 소고기, 닭고기, 개고기, 염소고기, 노루고기.
해조류 - 김, 미역.
채소류 - 상치, 무우, 파, 양파, 생강, 마늘, 겨자, 후추, 계피, 컴프리.
과일류 - 사과, 귤, 오렌지, 복숭아, 토마토, 망고, 대추.
기 타 - 인삼, 벌꿀, 참기름, 카레, 비타민 B군, 산성음료수, 냉수욕, 밝은 색깔.
* 해로운 것
곡물류 - 보리, 흰밀가루, 팥.
육 류 - 돼지고기, 계란흰자.
어패류 - 생굴, 게, 새우, 오징어, 낙지.
채소,과일류 - 오이, 감, 참외, 메론, 바나나.
기 타 - 맥주, 얼음, 냉수, 냉한 음식, 팥빙수, 보리차, 비타민E, 숙지황, 영지버섯, 수은,
사우나(온수욕), 알칼리성 음료수.
(4) 수음체질 (VESICOTONIA)
* 특징
방광이 가장 강하고, 위가 가장 약한 장기배열구조의 체질이다. (방광>담>소장>대장>위)
위가 작고 약한 것이 특징으로 평소의 건강은 소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위만 건강하다면 큰 병에 걸리지 않으며, 성격은 목양체질과 수양체질의 중간쯤 되는 성격으로 조용하고 침착한 편이다.(수양체질의 회의주의적 성향과 목양체질의 투기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 찬 음식을 먹으면 위가 더욱 냉해져서 만성적인 소화질환과 여러 가지 질병이 발생될 수 있으며, 과식을 하거나 폭식을 거듭하면 위가 무력해지고 밑으로 쳐져서 위하수(Gastroptosis)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음식은 아주 적게 먹어야 건강하며, 식후에는 반드시 누웠다가 행동하는 것이 좋고, 수영 같은 운동으로 땀을 막는 것이 좋다.
변이 항상 무른 편이고 설사를 하면 힘이 빠지며, 모든 병이 오른 쪽에서 시작하고, 보리와 돼지고기는 아주 해롭다. 항상 따뜻한 음식을 먹고, 과식을 피해야 하며, 평소에 땀을 많이 흘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유익한 것
곡물류 - 찹쌀, 현미, 옥수수, 감자, 누른밥.
육 류 - 닭고기, 개고기, 염소고기, 노루고기, 양고기.
해조류 - 김, 미역, 다시마.
채소류 - 시금치, 무우, 파, 양파, 생강, 마늘, 겨자, 후추, 계피.
과일류 - 사과, 귤, 오렌지, 대추, 토마토, 망고.
기 타 - 인삼, 벌꿀, 참기름, 카레, 비타민 B군, 산성 음료수, 밝은색깔.
* 해로운 것
곡물류 - 보리, 흰밀가루, 팥.
육 류 - 돼지고기, 계란 흰자.
어패류 - 조개, 생굴, 새우, 게. 오징어, 낙지.
채소,과일류 - 오이, 딸기, 참외, 메론, 바나나.
기 타 - 냉한음식, 맥주, 얼음, 팥빙수, 보리차, 담배, 비타민 E, 숙지황, 알칼리음료수,
사우나, 수은.
(5) 금양체질 (PULMOTONIA)
* 특징
폐가 가장 강하고 간이 가장 약한 장기배열 구조의 체질이다. (폐>췌장>심장>신신>간). 비현실적이고 비노출적이며 비사교적인 성격으로 자기를 나타내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모방을 싫어하고 창의적인 것을 좋아한다. 따라서 독창성을 갖는 일을 하는 것이 좋다.
체질적으로 간기능이 약하므로 모든 약이 효과보다는 해가 되며, 육식보다는 푸른 채식을 위주로 해야 한다. 만일 육식을 위주로 하게 되면 몸이 더 무겁고 괴로워지며 피부알레르기 등의 질환이 생길 우려가 높다.
여러 가지 알러지성 질환(비염, 천식, 결막염, 피부염 등)이나 피부질환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아토피성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육식을 즐기는 금양체질의 사람에게 생기는 특유의 독점병으로 육식을 완전히 끊고 체질치료를 통해 치료될 수 있다.
평소에 허리를 펴고 서있는 시간을 많이 갖는 것이 좋으며, 일광욕과 땀을 많이 내는 것을 피해야 한다. 육식을 하면 건강이 더욱 나빠지고 채식을 해야 건강하고 병이 적어진다.
* 유익한 것
곡물류 - 쌀, 보리, 모밀, 팥.
육 류 - 계란흰자.
어패류 - 모든 조개종류, 게,새우,굴,젓갈류, 대부분의 생선류, 김,미역,다시마 등 해조류.
채소류 - 배추, 양배추, 오이, 쑥, 고사리, 케일 등 푸른 채소류.
과일류 - 복숭아, 바나나, 파인애플, 딸기. 앵두, 다래, 모과, 청포도 등 대부분의 과일류.
기 타 - 코코아, 쵸코렛, 모과차, 포도당주사, 호흠은 내뱉는 숨을 길게..
* 해로운 것
곡물류 - 밀가루, 수수, 율무.
육 류 - 모든 육류, 모든 기름, 계란노른자, 순대, 우유.
생선류 - 장어.(그외 대부분의 생선류는 유익함)
채소류 - 고추, 마늘, 생강, 버섯, 호박, 무우, 당근, 도라지, 더덕, 마 등 뿌리채소류.
과일류 - 사과, 귤, 수박, 검은포도, 밤, 은행, 잣, 땅콩.
기 타 - 술, 담배, 인삼, 인공조미료, 설탕, 커피, 등 차류, 칡, 영지버섯, 살구씨,
가공음료수, 비타민A,B,D. 약물, 아트로핀 주사, 금니, 사우나(온수욕)
(6) 금음체질 (COLONOTONIA)
* 특징
대장이 가장 강하고, 담이 가장 약한 장기배열 구조의 체질이다. (대장>방광>위>소장>담)
세상을 꿰뚫어보는 직관력과 야심, 창의력이 뛰어나고, 쉽게 흥분하지 않는 강한 심장의 소유자이다. 그러나 화를 잘 내는 경향이 있고 화를 많이 내게 되면 오른쪽이 무력해진다. 육식을 많이 하면 파킨슨병같은 희귀병에 걸리고 대변이 항상 가늘고 불만스럽다.
육식을 과하게 하거나 화내는 일이 잦으면 근무력증 등이 생길 우려가 있으니 주의해야 하며, 만일 이런 병이 생기면 바로 육식을 끊고, 화를 내지 말고 즐겁게 웃으며 생활하도록 해야 한다. 이 체질은 육식으로 인해 희귀한 병이 많이 생기는데, 근무력증, 파킨슨병, 치매 등은 대개 이 체질의 병이다.
특히 진행성근위축증(Progressive Muscula Atropy)의 한 형으로 오른쪽 다리에서 시작하여 상향하면서 근육위축과 무력 때문에 보행이 어려워지는 불치병은 금음체질만의 독점병으로 육식을 끊고 화를 내지 않으며 체질치료를 해야 치료할 수 있다.
간의 해독기능이 약하므로 대부분의 약이 효과보다는 해가 많고, 일광욕과 지나치게 땀을 내는 것(사우나탕)은 좋지 않으며, 푸른 채소 위주의 채식이 좋다.
* 유익한 것
곡물류 - 쌀, 모밀.
어패류 - 모든 조개종류, 대부분의 생선류, 젓갈류, 김,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
채소류 - 배추, 양배추, 케일, 상추 등 모든 푸른채소류.
과일류 - 귤, 오렌지, 파인애플, 포도, 앵두. 다래, 모과.
기 타 - 겨자, 후추, 코코아, 포도당, 호흡은 내뱉는 숨을 길게..
* 해로운 것
곡물류 - 밀가루, 수수, 콩, 율무.
육류,어패류 - 모든 육류, 모든 기름, 계란, 순대, 우유, 굴, 장어.
채소류 - 호박, 고추, 마늘, 버섯, 무우, 도라지, 연근, 당근, 더덕, 마 등 뿌리채소.
과일류 - 복숭아, 수박, 메론, 밤, 잣, 은행. 땅콩.
기 타 - 술, 담배, 커피, 설탕, 영지버섯, 칡, 살구씨, 인공조미료, 비타민A,D,E, 약물,
금니.
(7) 토양체질 (PANCREOTONIA)
* 특징
췌장이 가장 강하고 신장이 가장 약한 장기배열 구조의 체질이다. (췌장>심장>간>폐>신장). 성격이 급하고 항상 바쁘고 분주하며, 외향적인 성격으로 집에 조용히 있기보다는 밖으로 돌아다니기를 좋아한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난다. 일을 처리할 때는 나중에 되는대로 준비한다는 생각보다는 미리 준비를 다 해놓고 기다려야 하는 성격이고, 센스가 빠르고 일을 잘 만들고 주선력이 좋으나 뒷 처리는 잘 못하여 흐지부지하는 편이다. 호기심도 많고 사교성도 좋고, 봉사정신도 강하여 성직자가 많으며, 시각이 발달하여 화가가 많고, 미각이 발달하고 소화력이 왕성하여 식도락가가 많다. 머리가 일찍 희어지는 사람이 많으며, 혈압이 대체로 낮은 편으로 조금만 높아도 괴롭다. 주로 왼쪽에 병이 많다. 백납(Vitiligo Vulgaris)은 거의 이 체질의 독점병이다.
결혼 후 몇 년이 지나도록 임신이 안되는 불임(Steriity)환자는 이 체질의 사람이 많으며, 독신주의자 거의가 이 체질이다. 그러므로 토양체질은 어려서부터 비타민 E를 섭취하고 체질에 맞는 음식으로 생활습관을 들여야 한다.
급한 성품과 체질에 맞지 않는 식생활로 인해 당뇨병이 생기기 쉬운 체질이며, 항상 여유있는 마음으로 서둘지 않는 것이 좋다. 평소에 혈압이 약간 낮은 편이 건강한 상태이며, 음식은 맵거나 기름진 것보다는 신선하고 시원한 것이 좋으며, 술과 냉수욕을 피해야 한다.
* 유익한 것
곡물류 - 쌀, 보리, 팥, 밀가루(우리밀), 콩.
육 류 - 소고기, 돼지고기, 계란.
어패류 - 복어, 장어, 게, 새우, 생굴 등 대부분의 어패류.
채소류 - 배추, 무우, 열무, 미나리, 오이, 당근, 마늘.
과일류 - 배, 참외, 수박, 딸기, 감, 바나나. 메론, 파인애플,
기 타 - 비타민E, 구기자차, 영지버섯. 알칼리 음료수, 온수욕, 검은색, 흰색.
* 해로운 것
곡물류 - 찹쌀, 현미, 감자. 차조.
육 류 - 닭고기, 개고기, 염소고기, 노루고기. 오리고기, 옻닭.
해조류 - 김, 미역, 다시마.
채소류 - 파, 양파, 생강, 후추, 겨자, 계피 등 자극성음식.
과일류 - 사과, 귤, 오렌지쥬스, 망고, 레몬, 토마토, 대추.
기 타 - 인삼, 벌꿀, 참기름, 카레, 비타민B군, 소화효소제, 산성약수, 가공음료수,
비타민A,B,D.
(8) 토음체질 (GASTROTONIA)
* 특징
위가 가장 강하고 방광이 가장 약한 장기배열 구조의 체질이다. (위>대장>소장>담>방광). 8체질 중 가장 드문 체질로 비교적 잔병이 없고 병원에 가기를 싫어한다. 오른쪽이 약하다.
약(항생제)의 부작용이 나기 쉬운 체질로 페니실린 쇼크(Penicillin Shock)가 일어나는 체질로 생각된다. 음식은 맵거나 기름진 것보다는 신선하고 시원한 것이 좋으며, 술과 냉수욕을 피해야 한다. (흔하지 않은 체질이라 자세한 체질 특징은 나와있지 않음)
* 유익한 것
곡물류 - 쌀, 보리, 팥.
육 류 - 소고기, 돼지고기.
어패류 - 복어요리, 게, 새우, 생굴.
채소류 - 배추, 양배추, 오이,
과일류 - 배, 참외, 딸기, 포도, 감, 바나나, 파인애플.
기 타 - 쵸코렛, 비타민 E, 얼음.
* 해로운 것
곡물류 - 감자.
육 류 - 닭고기, 개고기, 염소고기, 노루고기.
해조류 - 미역.
채소류 - 파, 생강, 후추, 겨자, 계피, 등 자극성 음식.
과일류 - 사과, 귤, 오렌지, 망고.
기 타 - 담배, 인삼, 벌꿀, 카레, 비타민 B군, 페니실린.
'한의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피 피부염:태열 (0) | 2014.11.13 |
---|---|
[스크랩] 자석치료법 (0) | 2013.04.17 |
청상방풍탕 (0) | 2011.12.26 |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0) | 2011.12.22 |
방풍통성산 (0) | 2011.12.21 |